한국 미국 일본 중국 베트남

 

대구·경북 대구섬유박물관, 아름다운 공유사업 특별전시 '행복한 토끼와 친구들' 개최 - 박물관과 섬유기업, 지역기관이 협력한 '아름다운 공유사업' - - 자폐 청소년들이 그린 토끼, 호랑이 등 익살스런 동물 그림 70여점 전시 - - 9일부터 다음달 24일까지 운영… 매주 월요일 휴관, 무료관람 -

페이지 정보

전우주기자 승인일시 2022-12-15 18:53:30 입력 22-12-15 12:17 0건

본문

  • 45de7bba01aa33f5963e73490f5d64d2_1671073993_7634.jpg
    대구섬유박물관은 아름다운 공유사업 특별전시 '행복한 토끼와 친구들'을 2023년 1월 24일까지 개최한다. 대구광역시청


    대구섬유박물관은 아름다운 공유사업의 일환으로 자폐 청소년들의 작품으로 꾸민 특별전시 '행복한 토끼와 친구들'을 2층 중앙홀에서 개최한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전시는 2023년 계묘년 토끼해를 맞아 '마음으로 그리기' 센터 소속 발달 장애 청소년 19명이 참여해 토끼, 악어, 호랑이, 자동차 등을 소재로 그린 70여 점의 그림을 선보인다. 이 그림 중 일부는 박물관 문화상품으로도 소개될 예정이다.

    이 전시는 박물관이 섬유 기업, 지역기관 등과 협력해 지역의 소외계층을 위한 문화나눔 사업을 추진하는 '아름다운 공유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특별전시다. 

    대구섬유박물관은 2018년부터 섬유 기업들이 버리는 자투리 원단을 기증받아 박물관의 섬유 체험에 활용하거나, 문화상품으로 제작해 소외계층에 기증한 바 있다. 특히, 올해 7월에는 마음으로 그리기 센터 소속 청소년 작가들과 저작권 계약을 맺고 그들의 작품을 다이텍연구원과 협력해 쿠션, 무릎담요, 바디필로우 등 다양한 문화상품으로 제작했다.

    전시에 참여하는 작가들은 10대~20대로 모두 자폐스펙트럼 장애가 있으며, 짧게는 5년, 길게는 10년 이상 미술 재활교육을 받았다. 

    박은주 센터장은 "자폐증이나 지적장애를 지니고 있지만 한 분야에 천재적인 재능을 가지는 현상인 '서번트 신드롬'은 2,000명 중 1명꼴로 드물게 발현하는 만큼 서번트들의 경우를 일반화해서 생각하면 안된다. 일반 자폐스텍트럼 장애 아동들은 서번트에 비해 시간이 오래 걸리지만,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 사물을 형태화할 수 있다. 처음에는 연필을 제대로 잡을 수 없을 정도에서 시작해, 자신이 표현하고 싶은 주제를 형태화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걸린다. 그 노력의 결실이 모여 이번 전시를 하게 되어 기쁘다."고 말했다.

    대구섬유박물관 담당자는 "대구섬유박물관이 지역의 환경과 문화콘텐츠를 중심으로 지역기관들과 협력해 시민들을 위한 공유사업을 진행하는 것은 오늘날 요구되는 박물관의 새로운 역할이라고 생각한다. '마음으로 그리기' 센터 청소년들의 작품은 급변하는 사회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일상에서의 팽팽한 긴장을 풀어주고, 마음의 여유를 가질 수 있도록 해준다. 한 해를 마무리하는 연말에 가족과 함께 오셔서 그림이 주는 따뜻한 기운을 함께 느끼면 좋겠다."고 말했다.

    전시 기간 중 박은주 센터장이 들려주는 전시해설이 '특별한 반짝임'이라는 주제로 오는 17일과 다음달 8일 오후 2시에 개최될 예정이다. 또한, 오는 17일, 18일, 다음달 14,15일에는 전시 교육프로그램 '마음으로 그리기 에코백 꾸미기'가 함께 진행된다. 이번 전시는 1월 24일까지 개최된다.

    추천0
    profile_image
    전우주기자
    reivianjeon@naver.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