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미국 일본 중국 베트남

 

전남 광주광역시, 돌봄정책 강화해 출산부모 더 챙긴다 - 광주광역시 출생육아수당 지원정책, 정부 설득 국가사업 확대 기여 - - 광주 출산‧육아 부모들, 자녀 출생시 60~140만원 더 받아 - - 결혼에서부터 임신‧출생‧육아 등 생애주기 지원정책 지속 강화 -

페이지 정보

전우주기자 승인일시 2023-01-03 20:02:35 입력 23-01-03 17:29 0건

본문

  • 2e9f662e8d3fea3942d5c8d3fd2fbc89_1672733930_8138.png
     

    광주광역시는 2023년 '아이 낳아 키우기 좋은 광주'를 만들기 위해 정부사업과 연계한 돌봄정책을 강화해 출산‧육아 부모를 더 꼼꼼히 챙기기로 했다고 3일 밝혔다.

    특히 광주지역 부모들이 지원받았던 출생축하금과 육아수당을 광주 시비뿐만 아니라 국비를 포함해 1인당 60만~140만원을 더 받을 수 있도록 출생 및 돌봄 정책을 전환했다.

    2023년도 광주광역시 자녀 1인당 지원액으로 보면, 만 0세 아동에게는 2022년 900만원 → 2023년 1040만원으로 1인당 140만원 늘렸다. 기존 출생축하금 100만원 → 현행 첫만남이용권 200만원, 육아수당 월 20만원 → 부모급여 월 70만원(총 840만원)으로 확대했다.
    만 1세 아동에게는 2022년 600만원 → 2023년 660만원으로 1인당 60만원 늘리며, 기존 육아수당 월 20만원 → 현행 부모급여 월 35만원+육아수당 월 20만원(총 660만원)으로 개편해 확대했다.

    광주광역시는 그동안 6단계 생애주기별 지원 정책(28개 과제)과 '광주 출생육아수당(2021년 432억원, 2022년 460억원)' 지원 정책을 선도적으로 펼쳐 2021년도 전국 합계출산율 증가 전국 1위(광주 0.90명, 전국 0.81명), 2022년도 3분기(통계청 발표) 기준 합계출산율 0.85명(전국 0.79명)이라는 괄목할만한 성과를 이뤘고, 중앙정부와 공유하고 설득해 출생육아수당 정책을 국가사업으로 이끌어내는데 성공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2023년부터 광주광역시의 출생축하금을 '첫만남이용권' 사업으로, 육아수당을 '부모급여' 사업으로 전환했으며, 이에 발맞춰 지방비를 분담 편성해 지원한다. 광주광역시의 선도 정책이 전국으로 확대돼 범국가적 출산‧양육 정책으로 시행되는데 크게 기여했다는 분석이다.


    이에 따라 2023년도 사업비 총 774억원을 편성, 한정된 재원 내 효율적인 예산 집행과 함께 출산 및 양육 가정에 대한 지원을 지속하기로 했다.

    광주광역시는 정부 지원과는 별도로 '광주 아이낳아 키우기 좋은 광주 만들기'의 시너지를 높이기 위해 2023년도 시 사업으로 12~23개월 대상 아동을 키우는 모든 부모에게 '육아수당' 187억원과 '다태아 출산축하금' 2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특히 광주시는 출생육아수당에 이어 신규사업 발굴에 적극 나서고, 돌봄 정책을 한층 강화할 계획이다.

    온종일 돌봄정책 강화를 위한 아이키움 플랫폼 돌봄지도 고도화 사업, 손자녀 돌보미 지원대상 및 지원액 확대(월 30만원), 입원아동 돌봄서비스 운영시간 확대(연 150시간→200시간), 임신부 가사돌봄 서비스 등의 틈새 돌봄 역시 촘촘하게 지원할 방침이다.

    김순옥 시 여성가족교육국장은 "광주시가 선도적으로 펼친 출생축하금과 육아수당 지원이 정부사업으로 받아들여져 범국가적 차원에서 시행하게 됐다."며 "앞으로 출산‧육아 신규사업 발굴과 돌봄 사업을 강화해 '맘편한 내☆일을 위한 아이낳아 키우기 좋은 광주'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추천0
    profile_image
    전우주기자
    reivianjeon@naver.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