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미국 일본 중국 베트남

 

경기·인천 경기도북부소방재난본부, '2022년 경기북부 지역 화재 통계' 발표…지난해, 전년도보다 재산 피해 18% 감소 화재 건수는 2021년 2,374건에서 2022년 2,484건으로 4.6% 증가 인명피해는 총 169명, 사망자 총 17명 중 15명이 주거시설에서 발생 화재 건수 증가에 반해, 재산 피해는 전년 대비 감소

페이지 정보

원성호기자 승인일시 2023-01-19 09:59:18 입력 23-01-19 09:55 0건

본문

  • 56fce38c41987bcaeed3e9abb592bc53_1674089703_5879.jpg
     

    경기도북부소방재난본부는 19일 '2022년 경기북부 지역 화재 통계'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경기북부지역에서 발생한 화재로 인한 재산 피해가 전년보다 1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한해 경기북부에서 발생한 화재는 총 2,484건으로 전년도 2,374건보다 4.6% 소폭 늘었고, 인명피해 규모도 지난해 169명(사망 17명, 부상 152명)으로 전년 대비 10.5% 증가했다.

    이는 전국적으로 약 10.6%의 화재 증가율 속에서도 소폭 증가하는 데 그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명피해는 전년 대비 총 16명 증가했으나 사망자 수는 오히려 2명 감소했다.

    화재 건수가 소폭 증가한 데 반해 재산 피해는 1,339억 원으로 전년 대비 293억 원(18%)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화재 및 인명피해 증가 요인으로는 코로나19 방역 완화에 따른 유동 인구 증가와 건조한 기후 등 인적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북부소방재난본부는 분석했다.

    실제로 임야 화재가 전년보다 105% 증가한 113건을 기록했으며, 차량 화재에 따른 사상자도 전년 대비 150% 이상 대폭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화재 사망자는 주거시설에서 많이 나와 사망자 총 17명 중 15명(88.2%)이 주거시설에서 발생했다.

    발화 원인별로는 부주의 1,040건(41.9%), 전기적 요인 791건(31.8%), 기계적 요인 336건(13.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발생빈도가 가장 높은 '부주의 화재'의 세부 원인을 살펴보면, 담배꽁초가 406건(39%)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서 화원방치 166건(16%), 음식물 조리 86건(8.3%) 등이 부주의 화재의 다수를 차지하고 있어, 이에 대한 도민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확인됐다.

    고덕근 경기도북부소방재난본부장은 "화재로 인한 사망자의 대부분이 주거시설에 발생한 만큼 화재경보기나 소화기 등 주택용 소방시설 의무설치율을 더욱 확대시키고, 대피가 곤란한 사회적 약자 거주가정에 대한 이웃의 지속적인 주의와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추천0
    profile_image
    원성호기자
    assa2552@kakao.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