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미국 일본 중국 베트남

 

제주특별자치도 선제적 산불 대응으로 '산불 없는 해' 실현 총력 봄철 산불방지 대책본부 운영(2.1~5.15), 산불재난으로 부터 안전대책 강화

페이지 정보

이민석기자 승인일시 2023-01-30 15:33:29 입력 23-01-30 14:25 0건

본문

  • 9873ac40d04174fd93e69f6fbdf2ac21_1675056305_136.jpg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는 도민안전과 산림보호를 위해 오는 2월 1일부터 5월 15일까지 산불방지대책본부를 설치하고 산불재난 예방에 총력 대응한다.


    산불조심기간에 산불 위험도에 따라 4단계 산불경보를 발령(관심→주의→경계→심각)하며, 경보별 조치 기준에 맞춰 취약지 감시 인력을 확대 배치하고 단속활동을 강화한다. 


    봄철 산불조심기간을 앞두고 산불감시 및 진화 장비에 대한 사전 점검․정비로 신속한 출동태세를 확립해 나갈 계획이다. 산불진화장비 보유현황은 산불지휘차량 5대, 진화차량 32대, 등짐펌프 2,108점, 무전기 435대, 개인진화장비 96세트, 기타 3,924개 등으로 빠른 초동조치에 초점을 맞춘다는 방침이다.


    산불방지기간 중 예방활동을 위해 산불예방 방송사 자막방송 및 무인방송시설을 활용한 계도를 실시하고, 조기발견 및 초동진화를 위해 무인감시카메라를 운영한다. 산불방지인력 235명(산불감시원 122명, 산불전문예방진화대 113명)으로, 무인감시카메라 20개소, 무인방송시설 8개소, 방송사 자막 방송(4개 방송사)와 연계해 진행한다.


    또한 주요 등산로 등 취약지역에 산불감시원 및 전문예방진화대원 배치로 상시 순찰을 강화한다. 이와 함께 산림청 제주산림항공관리소와 공조체계를 구축해 산불진화용 대형헬기 1대를 배치하고, 긴급 상황 발생 시 골든 타임제 운영 등 신속한 출동태세를 갖춰 산불발생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방침이다.


    양제윤 제주도 기후환경국장은 “입산객 실화와 폐기물 소각 부주의로 산불이 자주 발생하는 만큼 관계부서와 긴밀한 협조체계로 농업부산물 등 쓰레기를 태우는 일이 없도록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최근 10년간 전국 산불발생 현황을 보면 대부분의 산불은 봄철에 집중 발생하며, 주요 원인은 입산자 실화와 소각인 것으로 조사됐다.

    추천0
    profile_image
    이민석기자
    ccoccoss@naver.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