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미국 일본 중국 베트남

 

복지 추석 연휴 아이돌봄 등 민생서비스 정상 운영 아이돌봄서비스 평일요금 적용…1366센터 등 상담전화도 24시간 운영

페이지 정보

송호필기자 승인일시 입력 22-09-07 22:44 0건

본문

  • 추석 연휴 민생 안정 서비스 안내 온라인 포스터. 

    추석 연휴 기간 아이돌봄서비스 이용 시 휴일 가산요금이 아닌 평일 요금이 적용된다. 또 위기청소년, 가정폭력·성폭력 등 폭력피해자 및 다문화가족 등을 위한 상담·보호 서비스 지원도 정상 운영된다.

    여성가족부는 추석 연휴기간 아이돌봄 등 민생 서비스를 정상 운영한다고 7일 밝혔다.

    먼저 맞벌이·한부모 가정 등의 만 12세 이하 아동을 대상으로 집으로 찾아가는 아이돌봄서비스를 정상 운영해 연휴기간 부모가 출근하는 가정의 돌봄 공백을 방지한다.

    특히 이용자의 비용 부담을 덜기 위해 휴일 요금(50% 가산)이 아닌 평일요금(시간당 1만 550원)을 적용한다.

    또 전국 아이돌봄서비스 제공기관을 통해 연휴기간 활동 가능한 아이돌보미를 사전에 확보해 서비스 신청 시 원활한 연계가 가능하도록 할 방침이다.

    여성긴급전화 1366센터 18곳도 365일 24시간 운영해 가정폭력, 성폭력 등 폭력피해자에 대한 상담과 긴급보호 서비스를 신속하게 지원한다.

    해바라기센터(위기지원형·통합형 32곳) 또한 24시간 운영하며 성폭력, 가정폭력 등 폭력피해자에 대한 상담·수사·의료·법률 통합 서비스를 제공한다.

    위기청소년 보호·지원을 위해서는 가정 밖 청소년 보호·생활·자립시설인 청소년쉼터(전국 138곳)와 청소년상담1388(전화·모바일·온라인 등)을 24시간 정상 운영해 상담과 긴급 생활보호 서비스를 제공한다.

    다양한 가족 구성원을 위해 가족상담전화(1644-6621)를 정상 운영해 임신·출산 관련 상담, 한부모가족 등의 심리·정서 관련 상담 서비스도 지원한다.

    다문화가족 및 이주여성을 위한 다누리콜센터(1577-1366)도 정상 운영(365일 24시간)하며 13개 언어로 상담과 정보 제공, 보호시설 및 유관기관 연계 서비스를 지원한다.

    한편 정부는 취약계층의 생활지원과 서민 생계부담 경감을 위해 지난달 11일 추석 민생안정대책을 발표했다.

    여가부는 최근 고물가에 대응해 지난 7월부터 한시적으로 취약계층 여성청소년에 대한 생리용품 구매권(바우처) 지원금액을 월 1만 3000원으로 확대해 내년까지 계속 이어 나간다.

    지원대상은 ‘국민기초생활 보장법’에 따른 생계·의료·주거·교육 급여 수급자와 법정 차상위계층, 한부모가족지원법에 따른 지원대상 가구의 만 9세 이상 24세 이하 여성청소년이다.

    추천0
    profile_image
    송호필기자
    nazooo@naver.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